1. 웹 언어의 역할

  설명 비유
HTML 정보의 집합 or 설계도 건물의 설계도
CSS 디자인 or 스타일링 인테리어 디자인
JavaScript 기능과 효과 박수를 치면 불이 꺼지는 기능

 

2. 웹 제작 시 고려 사항

  • 웹 표준: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따라야 하는 표준 규약 및 기술 규격
  • 웹 접근성: 모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
  • 크로스 브라우징: 모든 기기및 브라우저에서 사이트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는 기법

 

3. HTML 태그

  1. 태그 구조 -> <tag 속성="속성값">내용</tag>
  2. 주요 기본 태그(정보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태그)
    • <h1>~<h6>: 정보의 중요도를 나타낸다. 제목 등에 사용할 수 있다. <h1> 태그의 경우는 가장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html문서 내에서 한 번만 등장한다.
    • <a>: 다른 웹 페이지로 링크를 걸어준다.
    • <img>: 이미지를 웹페이지에 표시하는 태그이다.
    • <p>: 본문 내용, 문단을 표현하는 태그이다. 
    • <ul>, <ol>, <li>: 리스트를 생성하는 태그이다.
  3. 구조를 잡을 때 사용하는 태그
    • <header>: 웹사이트의 머리글 구역, <nav>, <ul>, <li>, <a> 등을 사용해 사이트의 메뉴 등을 구성할 수 있다.
    • <main>: 웹사이트의 본문 구역, <article>을 사용해 주요 이미지, 텍스트 정보, 구역 설정 등에 사용한다. <h#>를 이용해 구역의 타이틀을 지정해준다. 
    • <footer>: 웹사이트의 하단 구역, 웹사이트의 주소, 저작권, 사업자 등을 적는다.
    • <div>: 임의의 공간을 만들 때 사용한다.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   
    <header></header>
    <main role="main">
        <article></article>
        <article></article>
        <article></article>
    </main>
    <footer></footer>
</body>
</html>

   

 

4. HTML 태그 성격

block inline
y축 정렬 x축 정렬
공간을 만들수 있음(width, height 속성 사용) 공간을 만들 수 없음
상하 배치 작업 가능(margin, padding) 상하 배치 작업 불가(margin, padding <top, bottom>)

 
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(1)-20220404  (0) 2022.04.04

1. 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은 웹 페이지의 근간이 되는 언어이다.

  • 그림과 같이 웹을 개발하기 위한 언어들 중 일부가 가지는 의존관계를 정리해봤다. 우리는 HTML만으로도 거칠고 조금은 제한적일지라도 웹 사이트를 만들어낼 수 있다. 하지만 조금 더 효율적으로 개발을 하고 유연한 웹을 개발하기 위해서 다른 언어들을 사용해서 더 멋진 웹을 개발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 

 

 

2. HTML의 가장 기본은 tag를 이해하는 것이다.  

<a href="http://info.cern.ch">The First Web</a>
  • 옷에서 tag는 옷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. 이것도 마찬가지이다. tag로 감싼 부분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웹 브라우저에 설명을 하는 것이다.
  • tag안에는 역할에 필요한 속성(attribute)을 명시한다.  

 

 

3. 웹과 인터넷

  • 웹과 인터넷을 현실세계로 비유하자면 웹은 자동차 인터넷은 자동차가 다니는 도로로 비유할 수 있다.

  • 네트워크(인터넷)가 형성이 되려면 최소 2대의 컴퓨터가 있으면 된다. 
  • 요청하는 쪽이 client, 요청에 대한 처리와 응답을 하는 곳이 server이다.
  • server의 특정 디렉토리만을 사용하는 이유는 만약 C드라이브 안에 모든 하위 폴더가 자원을 가져올 수 있는 디렉터리로 설정이 된다면 내 컴퓨터가 서버로서 역할을 할 때 모든 사용자에게 오픈이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.
  • 웹을 비롯하여 웹과 비슷한 레벨의 서비스들은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풀 안에 있다.
  • 웹 서버, 즉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것이 웹 호스팅이라고 하며 동일한 개념으로는 클라우드가 있다.
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ML(2) - 20220405  (0) 2022.04.05

+ Recent posts